이재명 기본대출 부활 가능성? 금융위 '검토 안 했다' 공식 입장…햇살론 유스 문제점은 여전

2025-06-17
이재명 기본대출 부활 가능성? 금융위 '검토 안 했다' 공식 입장…햇살론 유스 문제점은 여전
조세일보

최근 언론 보도를 통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추진했던 '청년 기본대출' 부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금융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한 언론은 기획재정부에 청년 정책 대출 재원 방안이 전달되었다는 소식을 보도하며, 이는 과거 이 대표 시절 시행되었던 청년 기본대출과 유사한 정책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보도에 대해 “검토한 바 없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청년 기본대출 부활 논의가 아직 초기 단계에 있거나, 금융 당국 내에서는 신중한 접근을 취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청년 기본대출, 과거의 그림자는 여전할까?

과거 청년 기본대출은 저금리로 청년들의 자립을 돕는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높은 연체율과 은행권의 정책 금융 부담 증가라는 문제점도 드러냈습니다. 특히 은행들은 정책 금융에 대한 부담을 느끼면서 적극적인 참여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햇살론 유스 이자 부담을 경감하는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은행권의 참여는 저조한 상황입니다. 햇살론 유스가 청년들의 금융 지원에 기여하고 있지만, 과거 청년 기본대출만큼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는 않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새로운 정책 방향은 무엇일까?

청년 기본대출 부활 논의가 다시 불붙은 가운데, 과거의 실패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연체율 관리, 은행권의 참여 유도, 정책 목표의 명확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또한, 청년들의 금융 상황과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융 당국은 청년 기본대출 부활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만약 부활한다면 과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청년들의 금융 안정과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정책으로 설계해야 할 것입니다.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계속될 것이며, 앞으로 금융 당국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