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 원전 건설, '불공정 계약' 논란…윤석열 정부-웨스팅하우스, 기술 사용료 2400억 원 지급 의혹

2025-08-20
체코 원전 건설, '불공정 계약' 논란…윤석열 정부-웨스팅하우스, 기술 사용료 2400억 원 지급 의혹
조선일보
  •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 계약 논란: 지난 6월 본계약을 체결한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을 둘러싸고 윤석열 정부가 미국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WEC)와 불공정한 계약을 맺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논란의 핵심: 불평등 계약 조건 논란의 핵심은 한전과 한수원이 향후 50년간 원전 1기를 수출할 때마다 웨스팅하우스에 기술 사용료로 1억 7,500만 달러(약 2,400억 원)를 지급하고, 추가적으로 6억 5,000만 달러(약 9,000억 원) 규모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계약 배경과 과정: 윤석열 정부는 체코 원전 건설 사업 수주를 위해 2023년 1월 웨스팅하우스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당시 정부가 대규모 투자와 기술 지원을 통해 웨스팅하우스를 살리는 동시에, 체코 원전 건설 사업을 확보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습니다.
  • 비판의 목소리: 그러나 이러한 계약 조건은 한국전력과 한수원의 부담을 과도하게 증가시키고, 한국의 원전 기술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웨스팅하우스의 재정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사실상 웨스팅하우스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 향후 과제: 이번 논란은 한국의 원전 수출 전략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은 원전 수출 과정에서 기술 사용료 및 비용 분담 방식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그리고 해외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어떻게 구축해야 할지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합니다.
  • 정부의 입장: 정부는 이번 계약이 한국의 원전 기술력을 인정받고, 체코 원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사용료는 국제적인 관행에 따른 것이며, 한국의 이익을 충분히 고려하여 결정되었다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이번 체코 원전 건설 사업 계약 논란은 단순히 경제적인 문제가 아니라, 한국의 원전 산업 경쟁력과 국가 위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입니다.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며, 한국의 원전 수출 전략을 재정비해야 할 시점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