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지방선거와 2028 총선에 헌법 개정 국민투표 실시 추진… 대통령 4년 연임제, 결선투표제 등 주요 쟁점 제시

2025-08-20
2026 지방선거와 2028 총선에 헌법 개정 국민투표 실시 추진… 대통령 4년 연임제, 결선투표제 등 주요 쟁점 제시
연합뉴스
2026 지방선거와 2028 총선에 헌법 개정 국민투표 실시 추진… 대통령 4년 연임제, 결선투표제 등 주요 쟁점 제시

국정기획위원회가 공식 업무를 마무리하며, 내년 지방선거 또는 2028년 국회의원 선거와 연계하여 헌법 개정 국민투표를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국민적 관심을 환기하고, 미래 사회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주요 쟁점으로 대통령 4년 연임제와 결선투표제 도입을 포함하며 논의의 불을 지폈습니다.

주요 헌법 개정 논의 내용

국정기획위는 헌법 개정 논의의 핵심 과제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제시했습니다.

  • 대통령 4년 연임제: 현행 5년 단임제를 변경하여 대통령의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도모하고, 정책 연속성을 확보하자는 주장입니다.
  • 결선투표제 도입: 최고 득표자가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상위 득표자 간의 결선투표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민의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 분열된 표심을 통합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검영장청구권 독점 폐지: 수사권 남용을 방지하고, 사법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검찰의 영장청구권 독점 폐지가 논의될 예정입니다.
  • 전작권 임기 내 전환: 현직 검찰총장의 임기 만료 시 전작권으로 전환되는 기존 관행을 개선하여 정치적 독립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 공적주택 110만호 공급 목표: 국민 주거 안정과 주거 복지를 강화하기 위해 공적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5·18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

국정기획위는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헌법 개정의 중요한 가치로 삼아, 민주주의 발전과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개헌 논의를 이끌어갈 계획입니다. 이는 과거의 아픔을 극복하고, 미래 사회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향후 전망

이번 국정기획위의 제안은 헌법 개정 논의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정치권과 시민사회 간의 활발한 논의를 통해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고, 2026년 지방선거와 2028년 총선을 통해 국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헌법 개정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결정이므로,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 개진이 필요합니다.

추천
추천